안녕하세요. 오늘은 조선 단종과 세조의 업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용은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을 참고하였습니다.
단종(1441~1457/재위 1452~1455)
조선 단종 조선 6대 왕의 이름은 홍의, 비는 송현수의 딸 정승왕후 송씨다.
1448년 8세 때 황태자에 책봉되었고, 1450년 문종이 즉위하자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1452년 문종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즉위 당시 섭정을 맡을 준비가 없었기 때문에 문종의 고명을 받은 황보인, 남지, 김종서 등과 세종의 요청을 받은 손삼문, 박팽년, 하의지 등이 측근으로 보좌하였고 국정은 의정부에서 담당하였다.
불과 12세에 불과했지만 이미 4년간 임금수업을 받으며 세종으로부터 총명함을 인정받은 단종은 도망가려는 모습이나 어린 모습은 한 번도 나타나지 않았고 형식상 결재만 맡은 지 몇 달이 지나지 않아 곧바로 자신의 영역을 찾기 시작했다.
1453년 수양대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황보인, 김종서 등을 죽이고 정권을 장악하자 부득이 영의정으로 섭정을 맡겼다.
이후 최대한 몸을 낮추고 수양대군을 예우하되 왕의 자리는 지키기 위해 조회에 참석하고 윤대를 비롯한 경연에도 열심히 참여하는 등 조심스럽게 걸음을 넓혀갔다.
조선 단종에게 1455년 수양대군이 금성대군 등 단종의 측근을 모두 죄인으로 몰아 압박하자 마침내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에 올랐다.
1456년 손삼문·박팽년·유웅부·유성원 등이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되자 1457년 노산군에 강봉되어 영월로 유배되었다.
그해 9월 금성대군이 단종의 복위를 계획하다가 발각되자 다시 서인으로 강봉되었고, 10월에 마침내 죽음을 당했다.
실록에 따르면 10월 24일 왕방연이 영월에 도착하자 단종은 목을 매 자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후 처리도 비참했다.
야사에 따르면 시신이 청령포 물속에 떠 있는 것을 호장 엄흥도가 몰래 수습하여 현재의 장릉 자리에 매장하였다고 한다.
1681년 노산대군에 추봉되었다가 1698년 복위되었다.
시호는 공의온문순정안장경순돈효대왕, 묘호는 단종이다.
능호는 장릉으로 강원도 영월군에 있다.
세조(1417~1468/재위 1455~1468)
세조 조선 7대 왕의 이름은 버드나무, 자는 수지이다.
1417년 세종의 둘째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윤번의 딸과 혼인하여 왕위에 올라 정희왕후가 되었다.
형 문종에 비해 학문보다 무예가 뛰어나 병서에 밝아 진평대군 함평대군 진양대군이라 칭하다가 1445년 수양대군에 봉해졌다.
세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문종이 재위 2년 3개월 만에 돌연 승고 12세의 젊은 나이에 홍위(단종)가 즉위하자 자신이 왕위에 오르기 위한 야망을 갖게 되었다.
수양대군은 권람, 한명회, 홍달선, 양정 등 30여명의 무인세력을 휘하에 두고 왕권을 찬탈하려는 계획을 구체적인 행동으로 옮기게 되었고, 1452년 10월 수양대군은 조선의 국왕이 되기 위해서는 명나라로부터 환심을 얻어야 하며, 그 목적으로 사은사를 자처하며 명나라를 다녀왔다.
1453년 10월 10일 무사들을 이끌고 김종서를 살해한 뒤 사후 왕에게 알리고 단종을 압박해 왕명으로 중신들을 소집해 궐문에서 죽여 유배시켰다.
그리고 동생 안평대군을 강화도에 유배시킨 뒤 죽었다.
합천 해인사 세조 존상도 강력한 왕권 구축을 목표로 한 세조는 즉위 직후 의정부 서사제를 폐지하고 육조직계제를 실시했으며 집현전과 경연도 폐지하는 등 유교정치 체제를 부정함으로써 절대 권력을 이뤘다.
그러나 신하와 학생들에게는 끊임없이 공부를 권하고 자신의 생활은 물론 나라 살림에도 낭비가 없도록 조치할 정도로 검소했다.
국정운영에 대한 철학을 갖고 있어 근면하고 자신만의 업적을 쌓을 수 있었다.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우해호패법을 부활시키고 북방에도 직접 수령을 파견하는 한편 세종시대의 사민정책도 이어갔다.
산재한 각종 법령을 정비하고 체계화하는 데도 주력하여 『경국대전』을 편찬하게 하였다.
한국의 역사에 관심을 기울여 『동국통감』, 『국조보감』 등을 편찬시켜 『동국지도』를 제작하였다.
불교를 숭상하던 세조는 간경도감을 설치하여 불경을 대량으로 인쇄하기도 하였다.
군사 부문에서는 문종의 오위진법 사상을 계승하여 중앙군을 오위로 나누고, 지방군은 전국에 55개의 거진을 두고 독자 방어를 담당하도록 진관 체제를 갖추는 등 군사 부문 편제를 완성하였다.
봉안돼 있던 세조존영도민의 생활 안정에도 각별한 관심을 보여 즉위하자마자 부민고소금지법을 폐지하고 지속적으로 분대를 파견해 수령의 비리를 감찰했다.
그러나 즉위 후 세 차례나 공신을 책봉하여 대토지를 소유한 특권층이 날로 늘어나 마침내 관리들에게 주는 과전이 바닥나 직전법을 실시하게 되었다.
이처럼 세조의 각별한 비호 아래 힘과 부를 키워가는 공신들 때문에 백성들의 삶은 나아지지 않았다.
1467년 일어난 이시애의 난은 세조가 추진해온 중앙집권화 정책과 공신 중심의 정치가 빚은 사건이었다.
외교정책에서는 현실주의 외교노선에 따라 중국에는 사대를, 야인에 대해서는 강온양면책을 썼다.
시호는 승천체도 열문영무 지덕융공성 신명예흠숙 인효대왕이며 묘호는 세조이다.
능호는 광릉으로 경기 남양주시 진접에 있다.
감사합니다~
#단종사 #조선단종 #단종의의미 #세조가계도 #단종유배지 #세조조직전법 #세조아들 #세조업적 #세조사